저는 예전에 외국에 나가서 제 소개를 할때나
외국인에게 제 소개를 할때
나이를 이야기할때 한국식 나이와 만나이 두가지를 알려줬던것 같아요.
우리나라에만 있는 한국식 나이..
하지만 이제 2023년 6월부터 우리나라도 만나이를 사용한다고 해요.
오늘은 저와 같이 연나이(한국식나이)와 만나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한국식나이 세는법
(연나이)
날짜와 상관없이 태어난 해에 1살을 먹고
돌아오는 새해 첫날에 1살을 먹는데요.
예를하나 들어볼까요?
2020년 12월30일에 태어난 아이는 이틀뒤
2021년 1월1일에 2살이 되는거죠.
연나이 계산법은
올해 나이 - 태어난해 = 현재나이
가 되는거랍니다.
"2023년 6월부터 만나이 통일법 시행"
불필요한 다툼을 해소하기 위해서 2023년 6월부터
연나이를 세지않고 만나이로 세도록 하는데요.
원래 세던 연나이에서 만나이로 바뀌면서
생일이 지난 사람은 1살,
생일이 아직 지나지 않은 사람은 2살이 줄어들게 되는데요.
저는 생일이 4월이라 1살이줄어들게 되겠네요...
만나이 계산하는 방법
만나이는 태어난 날을 기준으로 매년 돌아오는 생일마다
1살이 더해지는 나이 계산방법인데요.
예를 들면 2020년 2월에 태어난 사람은
다가오는 2021년 2월 생일에 1살이 되는거에요.
만나이 도입 시기는
앞에 먼저 말씀드렸듯이 2023년 6월부터 시행됩니다.
만나이 도입시 초등학교 입학시기
아직 어린 아이가 있는 각정에서는 만나이가 도입될 경우
초등학교 입학 시기가 어떻게 변경 되는지 궁금하실텐데요.
만나이 도입전에도 초등학교 입학시기는
만6세가 되는 날이 속한 해의 다음해 3월에 초등학교에 입학
하고 있답니다.
그래서 만나이 시행전과 동일하게 초등학교 입학할때에도
특별하게 변동되는 사항은 없답니다.
예를 들면 2023년 한해동안 만6세가 되는 어린이들은
2027년 3월에 초등학교 입학하는 거랍니다.
지금까지 만나이와 연나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일단 6월에 한살이 어려진다는 사실에 조금은 기분이 좋긴하네요.ㅎㅎ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사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재산세 납부기간, 가산세 쉽게 알아보기 (0) | 2022.09.14 |
---|---|
독감주사 지금맞아도 괜찮나? 독감 백신 주사 사망사고 (0) | 2020.10.21 |
코로나19와 독감 증상차이 구분하기 (0) | 2020.09.28 |
대형유통사 규제법안 14개 발의 (0) | 2020.09.26 |
집단소송제, 징벌적손해배상 제도 어떻게 바뀌나?? (0) | 2020.09.24 |
댓글